'보이스피싱'이란 전화를 통해 개인정보를 낚아 올린다는 뜻으로 음성, 개인정보, 낚시의 단어를 합성한 조어입니다. 대부분 은행, 법원, 카드회사 등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하여 범죄수단으로 이용하는 전화 금융 사기 수법입니다. 오늘은 보이스피싱 수법과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스피싱 수법
1. 미수령 택배 문자
미수령 택배가 있다며 파란색 링크를 보내는 보이스피싱으로 절대 누르면 안 됩니다.
택배 확인이 필요하다면 택배사 어플 또는 택배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2. 카카오톡
카톡을 해킹해 가족 또는 친구에게 돈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절대 카톡으로 연락을 주고받지 말고, 전화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3. 대출사기
저금리 대출 또는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을 빙자하여, 기존 대출을 갚으면 더 저렴한 이자로 대출해준다는 보이스피싱입니다.
대출 관련 연락이라면 무조건 의심하시길 바랍니다.
4. 신용등급 상향
신용등급을 올려주겠다며 접근하는 보이스피싱입니다. 신용등급을 올리기 위해서는 수수료나 보증금의 명목으로 돈을 요구합니다.
일단 신용등급은 내가 원할 때 절대 올릴 수 없고, 돈을 요구한다면 의심하시길 바랍니다.
5. 수사기관 사칭
범죄에 연류가 되었다는 연락과 함께 범죄자가 아니라면 금융감독원 직원에게 돈을 전달하라며 접근하는 보이스피싱입니다.
어떠한 수사기관도 절대 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6. 채용 사기
카카오톡으로 아르바이트 구직 사이트에서 이력서를 보고 연락드렸다며 구직자에게 연락 후 신분증, 통장사본 등 개인정보를 제출하도록 유도하는 보이스피싱입니다.
정상적인 회사라면 절대 급여 계좌 개설, 금융 관련 비밀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계좌정보는 취업이 됐을 때에 물어봅니다.
7. 앱 설치형 피싱
앱 설치형 피싱은 신종 사기 수법으로 랜덤 채팅 사이트에서 주로 일어나는 사기입니다.
모르는 사람과 연락을 주고받을 때, 인증되지 않은 사람이라면 어떤 것을 보내줘도 절대 클릭하면 안 됩니다.
클릭하는 순간 자동으로 앱이 설치되고, 돈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그리고 앱 설치형 피싱은 경찰에 전화하더라도 '보이스피싱'을 하는 사람들에게 자동연결이 되는 악성 프로그램이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8. 재난지원금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칭한 보이스피싱도 나오고 있습니다.
긴급재난 자금 상품권이 도착했다는 문자와 링크가 함께 오는데 절대 클릭하면 안 됩니다.
보이스피싱 대처법
1. 출처 불문 앱은 절대 설치하지 않습니다.
2. 금융기관 직원과 정부기관을 사칭하며 이체 또는 앱 설치를 유도한다면 은행 공식 전화번호로 직접 전화해 정보를 확인합니다.
3. 공공기관 사칭 시 경찰서(112), 금감원(1332)에 전화해 확인합니다.
4. 지인 사칭의 경우 지인과 통화하며 확인합니다.
5. 유출된 금융거래 정보는 즉시 해지 및 폐지합니다.
6. 지원 조건 미달을 이유로 다른 대출 제시와 관련되어 전송된 모바일 신청서는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이 크니 절대 클릭하지 않습니다.
7. 예금이 있는 모든 은행에 전화해서 '계좌 지급정지 신청'을 하고, '공인인증서'는 폐기합니다.
8. 내 명의로 폰 개통을 막기 위해 가까운 통신사 또는 엠세이퍼를 통해 알뜰폰 포함 휴대폰 개통을 제한시킵니다.
9. '파인'은 개인정보 노출사고예방 시스템으로 파인에 접속해 '소비자보호 ☞ 개인정보 노출 등록하기'를 합니다.
등록뿐만 아니라 해제할 때도 이 탭을 사용하면 됩니다.
10. 계좌정보 통합 관리 서비스 '페이 인포'에서 새로운 계좌 개설 및 대출 확인을 합니다.
11. 휴대폰 소액결제가 되지 않도록, 구글 소액결제 해지와 통신사에 휴. 대폰 소액결제 금지를 요청합니다.
12. 신분증은 폐기 후 재발급받습니다.
13. 한국 정보인증(1577-8787)과 코스콤(1577-7337)에 전화해 본인 명의의 범용 공인인증서가 발급된 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확인 후에 발급된 적이 있다면 폐기하고 발급 제한 신청을 꼭 해야 됩니다.
※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보이스피싱으로 해킹되었다면 가장 먼저 휴대폰을 비행기 모드나 전원을 끈 후 가까운 서비스센터로 가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노출된 카드와 계좌는 모두 지급정지를 하고, 폐기 후 재발급받아야 합니다.
막상 보이스피싱을 당하면 긴장감에 판단력이 흐려지게 됩니다. 그리고 보이스피싱의 정보력은 상당히 좋기 때문에, 항상 의심하고 돈과 관련된 내용, 확인되지 않은 정보라면 내용의 진위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보이스피싱 예방과 대처법이 될 수 있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제 정보를 통해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기를 바라며 인사드리겠습니다.
'소소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청년 주거지원정책 8가지 정리. (0) | 2022.02.20 |
---|---|
2022 대선 후보 반려동물 정책 공약 정리. (0) | 2022.02.19 |
장례식장 예절 총정리. (0) | 2022.02.13 |
청약 부적격 사례 8가지 정리. (0) | 2022.02.13 |
결혼식 축의금 액수 기준 및 축의금 봉투 쓰는 법 깔끔하게 정리. (0) | 2022.02.11 |
댓글